
인테리어란?  인테리어 디자인은 건축에 의해 구성된 실내공간에
인간과 주위 환경과의 밀접한 관계를 유지시켜 주면서 환경이 인간에게 주는 영향을 이용, 특정한 효과를 살려 심리적인 만족과 미적인 만족 그리고
기능적인 역할을 다하도록 해야한 다. 다시말해 인테리어 디자인이란 현대인의 생활방식을 분석해 나가며 공간을 매력있고 편리하게 해야하고 요구조건이
각양각색인 광범위한 대상의 실내 공간을 나름대로의 공간을 파악하고 적절한 기능과 형태 그리고 목적을 설정하여 그 대상을 실체화시키는 학문으로,
한계상황이 펼쳐지는 제한된 공간속에서 인간이 쾌적한 생활을 누릴 수 있게 만드는 미도 높은 창조행위이다. 이와같이 인테리어 디자인은 창작역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학문영역이다. 그러나 아무것도 없이 전무한 상태에서의 아이디어적인 전개이기 보다는 인간과 공간과의 친밀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실용예술"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할 수 있 다.
인테리어디자인이란 생활공간을 보다 아름답게 꾸미고
쾌적한 생활공간을 연 출하여 인간생활의 쾌적성을 추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하겠으며 그러기 위해 서는 단순한 장식을 위한 부분적인 장치보다는
전체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여 안 정감 있고 조화있게 꾸며야 할 것이다. 실내공간의 쾌적성은 기능과 형태의 적합성과 감성적 요소가 충족되었을 때
이루어진다. 실내 공간에서의 인간생 활을 기능적으로 분류해 보면 취침기능, 휴식기능,취식기능,작업기능의 네가지 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네가지
기능을 중심으로 인간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풍부하게 해주기 위해서는 외부나 내부로 부터의 휴식을 방해하는 요인들과의 차단, 이용장소의 쾌적성,
작업환경의 합리성등 주변의 기능도 만족되어야 한 다. 또한 실내공간이 편리한 기능을 해결하고 있다고 해도 그것이 차고 딱딱하 며 매력없는
것이라고 한다면 정을 느낄 수 없을뿐더러 인간생활을 위해 유용 한 것이 될 수 없다. 그래서 정서적 환경조성도 중요한 부분인데 정서적 환경
조성은 인간성의 존중, 인간생활의 실상을 위해 필요한 요건으로 기능치중의 결과로만 나타나는 딱딱한 분위기의 건축공간에 인간이 정을 느끼고 살
수 있 도록 멋과, 정과, 격조를 부여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